2017-12-21

한자 획수에 따라 길흉? 원형이정(元亨利貞)과 수리오행

 한자 획수에 따라 길흉이 있다니?

그저 참고용으로 송나라 시대 西山 蔡九峰 선생이 획수에 따른 길흉(吉凶)을 설명한 ‘八十一數元圖’를 소개한다. 판본에 따라 약간씩 표현이 다르다.

‘ 81수원도(八十一數元圖)를 바탕으로 한 수리성명학은 문외한들도 보통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성명 삼자에서 각 두 자씩의 획수를 조합하여 主運(元격), 副運(亨격), 外運( 利격), 總運(貞격)을 보게 된다. 즉, 元, 亨, 利, 貞의 사격(四格)이 해당 시기에만 영향력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성을 갖고 영향력을 미친다고 본다.

주역(周易)의 ‘건괘(乾卦)’에서 유래된 원형이정(元亨利貞)이란 사물의 근본 원리를 뜻하는, 네 가지 덕을 말한다.

‘문언전(文言傳)’에는 “元者, 善之長也. 亨者, 嘉之會也, 利者, 義之和也. 貞者, 事之幹也. 君子體仁足以長人, 嘉會足以合禮, 利物足以和義, 貞固足以幹事. 君子行此四德, 故曰, 乾, 元亨利貞”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元은 착함이 자라는 것, 亨은 아름다움이 모인 것, 利는 의로움이 조화를 이룬 것, 貞은 사물의 근간이다. 군자는 인을 체득하여 사람을 자라게 할 수 있고, 아름다움을 모아 예에 합치시킬 수 있고, 사물을 이롭게 하여 의로움과 조화를 이루게 할 수 있고, 곧음을 굳건히 하여 사물의 근간이 되게 할 수 있다. 군자는 이 4가지 덕을 행하므로 ‘乾’은 ‘원형이정(元亨利貞)’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인(仁)·의(義)·예(禮)·지(智)와도 통하는 뜻이 된다. 또한 元은 만물의 시(始)로 봄(春), 亨은 만물의 장(長)으로 여름(夏), 利는 만물의 수(遂)로 가을(秋), 貞은 만물의 성(成)으로 겨울(冬)에 해당되는 풀이도 가능해진다.

‘문언전(文言傳)’은 공자(孔子)가 저술한 역경(易經) 십익(十翼)의 하나로, “積善之家 必有餘慶, 積不善之家 必有餘殃, 臣弑其君 子弑其父”라는 유명한 구절이 나오는 고전이다.

성명학에서는 성명삼자의 글자 획수를 각각 더하여 원형이정(元亨利貞)의 4격으로 나누어 수리를 보고 논한다.
즉, 主運(원격; 이름의 첫 글자 획수와 끝 글자 획수와의 합; 유년~20세까지의 초년운), 副運(형격; 성과 이름 첫 자 획수의 합; 40세까지의 청년운과 인격, 재물, 사업, 가정운), 外運(이격; 성과 이름 끝 자 획수의 합; 60세까지의 중년운과 대인관계운), 總運(정격; 획수 전체의 합; 말년운)으로 본다.
여기서 원형이정을 자연의 사계절을 표현하는 근묘화실(根苗花實)로 비유하기도 한다.

수리 풀이와 관련하여 21, 23, 32, 33, 39 획수의 경우 남자에게는 길하나 여자에게는 흉하다는 일부 주장이 있는데, 근거도 없거니와 시대에도 맞지 않는 주장이다.

吉凶
1太初格始頭運
2分散格災厄運
3名譽格福祿運
4死滅格破壞運
5通御格名財運
6繼承格德厚運
7剛成格發展運
8發達格前進運
9終局格時虧運
10歸空格空虛運
11更新格再興運
12柔弱格孤愁運
13聰明格智達運
14離散格破壞運
15統率格福壽運
16德望格裕財運
17勇進格暢達運
18發展格隆昌運
19成敗格病惡運
20空虛格虛妄運
21自立格頭領運
22中折格薄弱運
23革新格旺盛運
24出世格蓄財運
25安康格財祿運
26晩達格英雄運
27大人格中折運
28風波格波瀾運
29成功格享福運
30不測格浮沈運
31世察格興家運
32順風格旺盛運
33登龍格隆盛運
34變亂格破滅運
35太平格安康運
36英雄格波瀾運
37政治格出世運
38文藝格學士運
39將星格指揮運
40變化格空虛運
41高名格濟衆運
42辛苦格受難運
43盛衰格散財運
44侵魔格破滅運
45大覺格顯達運
46未運格悲愁運
47出世格得時運
48濟衆格榮達運
49變化格成敗運
50相半格吉凶運
51吉凶格盛敗運
52昇龍格時乘運
53內虛格半吉運
54無功格敗家運
55未達格不安運
56恨歎格敗亡運
57逢時格强盛運
58半半先困格後福運
59災禍格不成運
60動搖格災難運
61理智格財利運
62花落格衰退運
63順成格發展運
64逢霜格衰滅運
65輝陽格興家運
66暗夜格失登運
67天福格榮達運
68明智格發明運
69終末格停止運
70空虛格暗夜運
71見龍格發展運
72相半格後困運
73平吉格安過運
74愚昧格不遇運
75適時格平和運
76先困格後盛運
77半半前後格吉凶運
78半半先吉格平福運
79終極格終末運
80終結格隱遁運
81還元格更喜運

댓글 없음:

댓글 쓰기